개발공부

첫 독학

pumaclass 2024. 7. 4. 04:05

파이썬 독학할때와 마찬가지로 HelloWorld 출력이 시작이다.

 

public class Helloworld {

}

 

public은 접근 제어자라고 하는데 아직 확 이해가 되는 수준은 아니다.

다만 퍼블릭을 쓰게 되면 이후 class에 정의되는 이름은 java 파일명과 동일하게(대소문자를 구분)하여 써야한다는건 알았다.

class는 객체를 정의할때 쓴다고는 하는데 아직 뭉뚱그리게만 이해되는 수준이다.

뒤에 중괄호는 시작은 알겠는데 언제 종료되는지 아직을 알수없다(물어볼것)

일단 이로써 Helloworld라는 객체가 정의되었다.

어.. 맞겠지?

 

public class Helloworld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ystem.out.println("Hello World");

    }

}

 

아래 메서드가 추가되었다.

아직 method라는 단어를 확실히 이해하지 못했다. (물어봐)

동작을 정의하는것이라는데 대충 느낌은 알겠다.

 

갑자기 모르는것들이 잔뜩 나왔다.

 

public : 메서드의 접근 제어자이며 누구나 이 메서드에 접근할 수 있다는 의미(누가 왜 접근해서 어떻게 쓸수있는데요?)

static : 메서드에 스태틱이 지정되면 이 메서드는 인스턴스를 생성하지 않아도 실행가능(인스턴스요?)

void : 메서드의 리턴값이 없다는걸 의미한다는데(만약에 리턴이 들어가면 뭐가 들어갈수있는지)

String[] : 문자열을 나타내는 자바의 자료형이라는데... 이쯤되면 아몰랑 대괄호는 왜 들어가는지도 모르겠어

args : String[] 자료형의 변수명이라고 한다(무슨 변수인지 모르겠다)

System.out.println : 이런 뭐 화면 출력해달라는 말건거 같고..

 

모르는거 투성이고 물어보고싶은것도 많다.

각 함수들의 기능을 언제 쓸수있는지, 배열 등등 갈길이 멀긴한데 재밌으면 그만이지

 

 

오늘 닉네임 랜덤 생성기를 만들어(?) 봤다.

정확히 말하자면 일단 예제를 그대로 따라쳐봤다.

public class 객체명의 변화정도만 줘봤다.

 

분명 그대로 따라서 쳐봤는데 에러가 뿜뿜이다.

모니터에 각막을 붙이다 시피해서 문제를 찾아봤다.

 

오.. 맙소사.. 오타투성이에 세미콜론도 몇개 안찍혀있다..

수정 완료 후 다시 컴파일 돌려봤다.

에러 뿜뿜 ㅠㅠ

 

하지만 세상이 좋아졌다.

챗gpt한테 물어봤다.

 

수확이 있었다.

public class 객체 정의는 반드시 파일명과 일치되어야 하며 대문자로 시작되어야한다.

String 또한 대문자로 시작되어야한다.

 

그리고 나머지는 하나도 모르겠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결국 gpt가 알려주는대로 고치고나니 제대로 작동한다.

온몸에서 희열이 느껴질뻔했다.

다 만들긴 했지만 이게 99% 어떻게 작동되는지 모른다.

내가 도움없이 직접 처음부터 끝까지 설계해서 작동까지 시켰다면 심정지가 왔을것이다.

 

그래도 신기해서 두번 더 만들었다

 

대학생때가 기억난다.

그래픽툴을 배울때, 영상툴을 배울때 그냥 도구 휙휙 꺼내서 몇번 써보면 금방 이해 되고 응용이 가능했는데

코딩은 왠지 그럴 수 있을거 같다는 이미지가 그려지지 않는다.

 

사회 초년생때가 기억난다.

아무것도 모르고 입사해서 cpc, crm, 캠페인, 로직 등 배울때는 자연스럽게 알게되고 다루게되었었는데

코딩은 왠지 그럴 수 있을거 같다는 이미지가 그려지지않는다.

 

아직은.

'개발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타 제작기  (0) 2024.07.20
스타크래프트 제작  (0) 2024.07.17
와이어프레임과 css  (0) 2024.07.15
두번째 독학  (0) 2024.07.07
스타트노트 작성 v0.1  (0) 2024.07.02